
인천시가 2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인천시 탄소 중립 전략 보고회’를 개최했다.
시는 지난해 ‘2045 인천시 탄소 중립 전략’을 세웠고, 올해 4월 정부가 청정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 연료 중심의 에너지 믹스를 반영한 국가 기본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시는 정부의 탄소 중립 기본계획을 반영하고, 탄소 중립 추진 분야별로 실질적인 감축 이행을 위해 이번 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보고회에는 미래 준비 특별 위원회, 탄소 중립 녹색 성장 위원회, 민·관·산·학 탄소 중립 상생 협력 업무협약 체결 기관, 군·구, 시민단체 및 유관기관 등 100여 명이 참여해 탄소 중립에 대한 이행계획을 보고 및 논의했다.
특히, 발전, 산업, 건물, 수송 등 담당 실·국장이 참여해 부문별 탄소 중립 이행계획을 발표하고, 미래 준비 특별 위원회, 탄소 중립 녹색 성장 위원회가 자문해 계획의 내실을 다지고 실행력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시의 탄소 중립 전략은 ‘2045 탄소 중립 실현, 세계 초일류 도시 인천’을 비전으로 4대 정책 방향, 15대 과제를 설정하고, 7개 부문(발전, 산업, 건물, 수송, 폐기물, 농축산, 흡수원), 154개 과제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이 담겨있다.
7개 부분의 탄소 중립 전략 중 우선 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의 58 %를 차지하는 ▲발전 부문에서는 석탄 발전의 단계적 폐지 및 화석 연료의 무탄소 연료 전환을 통해 204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0을 달성할 계획이다.
▲산업 부문에서는 스마트 그린 산단 조성, 친환경 연료 전환,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도입 ▲건물 부문에서는 제로 에너지 빌딩, 그린 리모델링를 확대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수소(교통) 부문은 수소 버스, 전기차 등 무공해 수송체계 개편과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폐기물 부문은 폐기물 감량 및 업사이클링 확대, 일회용품 규제, 바이오 가스 생산, 탄소 포립 활용 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도 계획하고 있다.
▲흡수원으로는 도시 숲 조성과 도시 텃밭 확대, 바다 숲 조성과 전국 갯벌의 30%를 차지하는 인천 갯벌을 보전해 온실가스 흡수도 기대하고 있다.
유정복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산불, 가뭄, 폭염 등 기후 위기로 인한 재난이 심각한 만큼 현 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해 당장 기후 행동에 나서야 한다”며, “탄소 중립 전략 로드맵을 바탕으로 시민, 학계, 기업, 공공이 지혜를 모으고 협력해 ‘2045 탄소 중립 비전’을 달성하고, 전 세계의 탄소 중립을 선도하는 초일류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2018년 제48차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총회에서 ‘1.5℃ 특별 보고서’를 채택한 도시로, 2022년에는 국가 목표보다 5년 앞선 ‘2045 탄소 중립’을 선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