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4-05-14 10:00 (화)
“자치분권은 지방재정체계 변화로부터”
상태바
“자치분권은 지방재정체계 변화로부터”
  • 김창석 기자
  • 승인 2022.06.14 21: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硏, 과세 자주권 보장 및 지방세 신설 제안

경기도의 재정 자립도와 재정 자주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중앙정부 재정 의존도가 커지는 가운데 급증하는 지방정부 재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과세 자주권을 보장하고, 환경세를 비롯한 지방세 항목을 신설하는 등 지방세 체계를 재정립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자치 분권은 지방재정체계 변화로부터’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지난해 기관별 통합 재정 지출 비중을 보면 중앙정부 42.8%, 지방정부 44.0%, 지방교육 13.2%다.

2010년 중앙정부 43.7%, 지방정부 42.8%, 지방교육 13.5%와 비교하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지출액 비중이 늘어난 것이다.
 
이처럼 지방정부의 재정 지출 규모가 늘어났음에도 국세와 지방세 비중은 75.3% 대 24.7% 수준에 머물러있다.

도의 일반 회계 예산 기준 재정 자립도(전체 재원 중 지방세 등 자주 재원 비율)는 2009년 75.9%에서 2021년 63.7%로, 재정 자주도(전체 세입 중 자주적 재량권을 갖고 사용할 수 있는 재원 비중)역시 2009년 84.4%에서 2021년 73.7%로 각각 하락하는 등 재정 수입 충당 능력과 재정 지출 재량이 크게 약화했다.

이에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 지원 및 회복 관련 확장적 재정 운영이 중요한 시점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재정 운영방안으로 자주 재원 중심의 지방세 체계 확립을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지방정부의 실질적 과세 자주권(지방정부가 지방세의 세율·세목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보장(조세법률주의를 완화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발굴한 새로운 세원을 지방정부 조례에 따라 과세할 수 있도록) ▲취득세처럼 과세 시기·기간을 정하는 ‘기간세’체계 정립(등록면허세와 레저세 포함) ▲환경세, 복지세, 지방사업세, 로봇세, 반려동물세 등 지역 여건을 고려한 지방세 세목 신설 등을 제안했다.

이현우 연구위원은 “지방정부의 안정적 재정 운영을 위해 자주 재원 중심의 재정 운영 확보와 과세 자주권에 기반한 지방세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