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4-04-29 11:50 (월)
남북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시급
상태바
남북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시급
  • 경도신문
  • 승인 2015.10.25 2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0월 20일부터 오늘 26일까지 1,2차에 걸쳐 동안 제20차 남북이산가족 상봉이 금강산에 마련된 특별면회소에서 이루어졌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1차 상봉은 20~22일 북측 가족 96명과 이들이 만나기를 요청한 남측 가족 389명, 2차는 24~26일 남측 이산가족 90명과 북측 가족 188여명이 헤어진 지 65년 만에 만난 것이다.

1차 상봉에서는 뱃속에 아이를 두고 헤어진 아내가 아들을 데리고 65년 만에 남편을 만나기도 했고, 어떤 아들은 아버지의 제사를 지낸지 40년이나 됐는데 아버지를 만났던 것이다.

어떤 남동생은 “누나 맞다! 누나 맞다!”하며 만세를 불렀고 살아 있어주어서 고맙다는 말을 했다.

어떤 할머니는 남편과 헤어진 지 65년 만에 당시 뱃속에 든 아들을 데리고 남편을 만났다.

이제 시간이 없다. 이산가족 1세대들은 대부분 80세를 넘긴 나이다.

북측 상봉단의 연령대는 거의 99%가 80세가 넘었고 남측 상봉단 역시 동생들이나 자녀를 포함해서 그렇지 거의 80세가 넘은 연령이다.

이제는 이념과 정치논리를 떠나 무조건 만나야 한다.

우리 가족 역시 이산의 아픔이 있는 가족이다.

할아버지는 6.25전쟁 당시 공산군에게 총살당하는 것을 목격한 분이 있어서 제사를 지내고 있지만 큰아버지는 6.25전쟁 직전 민주당 철원군청년부장의 직책으로 원산에 가셨다고 하지만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런 아픔이 있었는데 할머니도 작고하시고 둘째 큰아버지와 아버지도 돌아가셨는데 얼마나 그리우셨을까 가늠이 안 된다.

지금은 작은아버지만 생전에 계시지만 죽기 전에 형님을 한 번 보는 게 소원이라고 하신다. 큰아버지는 글씨를 아주 잘 쓰는 분이었다고 한다.

내가 글씨를 잘 쓰니 아버지는 내 글씨가 큰아버지를 닮았다고 하셨다.

나도 큰아버지를 만나고 싶지만 생사조차 모른다.

이제 얼마 남지 않은 이산가족의 상봉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나려면 이산가족상봉 제도를 정례화하고 보다 자유로운 상봉을 이루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

서신 왕래나 스마트폰을 통한 화상통화 등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 측이 배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남측은 그간 쌀이나 비료, 의약품 등을 무조건적 퍼주기식의 원조를 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퍼주기식 지원보다는 이런 이산가족 상봉이나 실질적인 효과를 낼 때 쌀, 비료, 의약품을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 선물로 지원해주면 좋겠다.

또한 남측 상봉단이 가지고 들어가는 선물의 규모도 개인의 경제능력에 따라 조금 늘려도 좋을 것 같다.

그것이 결국 북한의 당 간부나 김정은의 배 채우기가 될 지라도 배고픈 북한으로서는 구미가 당기는 일이 아니겠는가?

지난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대면상봉 19회와 화상상봉 7회가 진행됐다.

남북 총 4,491가족, 22,547명이 상봉의 감격을 느꼈으나 전체 이산가족들 중 극소수만 상봉의 기쁨을 누린 셈일 뿐 남북 이산가족은 1천만에 달한다고 보면 된다.

북에 있는 가족을 만나고 싶다는 남한 가족이 13만400여명인데 이중 64,000명이 사망을 했고 특히 2011년부터 2013년 이산가족 상봉이 없던 사이에 18,000여명이 사망했다고 하니 정말 안타깝기 그지없다.

아직도 만나지 못한 가족이 너무나 많다.

점점 고령화돼 내년, 내후년이면 그땐 만나고 싶어도 만날 사람이 별로 없다는 말도 나온다.

이제 상봉방법을 바꿔야 한다.

금강산까지 가야하는 만남, 출입국검색대를 통과하며 에너지를 소모해서 너무 힘든 상봉방법을 계속할 것이 아니라 판문점이나 개성 등 새로운 장소에서 자유롭게 만날 수 있어야 한다.

몇 시간씩 출입 절차를 밟으며 연로한 상봉단을 지루하고 힘들게 할 일도 아니다. 부모형제가 65년 만에 고작 3번 만나 손잡고 우는 것을 무슨 큰 선물을 주는 것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하룻밤이라도 한 방에서 잠을 자며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일에는 우선순위가 있다. 이산가족문제는 어떤 문제보다 시간이 촉박하고 시급하다.

정부는 이 문제를 그 어떤 문제보다 최우선에 놓아야 한다.

더욱 효과적인 상봉방법의 개선과 정례화를 기대한다.

<고려대 평생교육원 교수 김 순 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